앤츠라는 회사에서 탄소중립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데,
CBAM, SCOPE3를 비롯해서
요새 기업들이 공개하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목적
즉 글로벌 공시 및 대응를 하는 원초적인 이유들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글을 작성하고 있음
기본개념을 알아야, 글로벌 공시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용어설명과 과정 작업을 하려고함
우선, 탄소회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탄소회계하는 과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함
이 글을 통해서 쉽게 정리해보면 탄소회계는 온실가스 정량화 프로세스인데,
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 개념을 확장해서, 전반적인 온실가스 대응 프로세스이라고 해석했다.
그럼 정리해보는 글 스타투! ☝️☝️

탄소회계란?
개인이나 기업, 정부가 활동 또는 운영의 결과로 인해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정량화 및 분석하기위해
사용되는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프로세스를 말함
탄소회계는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됨
탄소회계 주요 구성 요소 및 회계 처리 단계
1. 배출원 식별 및 분류
온실가스 배출하는 활동, 프로세스를 식별하고 분류하는 것
직접 배출과 간접 배출이 포함되어있을 수 있음
2. 데이터 수집
활동 및 프로세스 데이터 수집
3.배출계수 결정
이미 정해진 배출계수 활용하거나, 별도 산출을 통해 온실가스 량을 추정하는 것
배출계수는 연료/에너지원/활동의 유형에 따라 달라짐
4. 배출량계산
탄소배출량 계산
*탄소발자국이란 상품 및 서비스 생산 및 소비의 결과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 온실가스 총량 의미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Potential) 지수
일반적으로 100년동안 지구 온난화에 대한 온실가스 상대적 영향을 이산화 탄소와 비교하여
측정한 수치
다양한 온실가스의 온난화 잠재력을 정량화하고 비교하는데 사용
5. 보고
조직 이해관계자에게 지속가능보고서를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탄소발자국을 보고함
6. 전략 수립
정량화한 후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함
1) 에너지효율 기술 채택 2) 에너지전환 3)운송효율성개선 4) 기타 지속가능니셔티브 실행
7. 검증
조직의 탄소회계와 관련된 표준과 준수 여부 보장을 위해 독립적 검증
원문출처 :
https://aents.co/posts/carbon_accounting/
탄소중립 블로그 - 탄소회계란 무엇일까요?
탄소 회계는 개인이나 기업, 정부(이하 ‘조직’으로 통칭함)가 활동 또는 운영의 결과로 인해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정량화 및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프로세스
aents.co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BAM 탄소국경조정제도 제도대응 핵심사항 간단 요약 | 🧭제도 대응을 위해 자주묻는 질문 Q&A ② (0) | 2024.05.08 |
|---|---|
| CBAM 탄소국경조정제도 제도대응 핵심사항 간단 요약 | 🌊제도 대응을 위해 자주묻는 질문 Q&A ① (1) | 2024.05.07 |
| 국내 ESG 공시 대응 쟁점사항(탄소회계) 🧑🔧 | 빠르면 기회, 늦으면 비용 (0) | 2024.04.30 |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기준 및 유의점 | 작성방법 초초초간단 요약 🚍 (0) | 2024.04.11 |
| 2월 그린잡 | ESG JOB 현대트랜시스 (0) | 202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