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SBTi 이해하기 - Part2 (추진 절차)

청파동비타민 2023. 8. 28. 18:01
728x90
반응형

 

업무로 일이 많아서, 추진절차만 나열하지 못해서 아쉽지만 

차근차근 알아보는 걸로 하고 끊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음

개념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서 설명하였고, 오늘은 간략히 추진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https://14035000.tistory.com/73

 

SBTi 개념 이해하기 -PART 1

SBTi 뜻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적 접근 방법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지침 및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기후행동 강화에 기여 1. 배경 및

sustainableroutine.com


추진절차

과학기반 목표설정 서약 제출, 목표제출, 목표제출 및 검증, 목표공개 및 진행사항 추적 등의 절차로 진행됨

 

STEP 1

목표설정 서약 제출

1. 표준서약서

2. 1.5도씨 서약서

서약 후 24개월 이내 과학기반 목표 검증 및 게시 필수

중소기업의 경우 표준서약서가 아닌 'SME 과학기반 목표설정'가능 

 

STEP 2

목표 수립

1. SBTi 기준에 부합하는 과학기반 목표 개발

2. 공식 검증 제출

3. 승인되면 SBTi 웹사이트에 게시

 

목표 설정시 주의사항

  • 베이스라인의 경우 가장 최신 데이터 사용
  • SBTi 지침 준용
  • 미래지향 목표 수립
  • 목표연도 설정시 단기목표 5~10년사이
  • 장기목표 2050년(전력부분의 경우 2040년) 이전
  • 목표설정 방법론
  • 절대량 감축방식 혹은 부문별 감축방식중 선택 가능
  • Scope3 인벤토리 목록 구성

 

STEP 3

목표제출 및 검증

검증을 위한 목표 제출 후 검증 시행

 

STEP4

목표공개 및 진행사항 추전

 

공식 승인 결정나면 SBTi 게시일자 요청

배출량과 목표대비 진행사항 매년 공개(지속가능보고서, CSR보고서, CDP등에 활용)

 

 

그럼 다음 글에서 각 스텝별로 필요한 내용과 세부내용에 대해서 다뤄보기로 하자!

 

출처: 2050 NET-ZERO를 위한 한국 사업의 숙제, WWF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