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실무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용어간단 설명] 제3자 PPA, 직접 PPA | 이보다 쉽게 설명 할 수 없다🚄 회사 업무에 다른 공부하는 거에 바빠서 조금 늦게 글을 올리게 되었음!! 신재생에너지는 온실가스 감축 및 대응의 핵심 이행수단으로, 전력사업시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장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므로 앞으로 글을 정리하여 종종 올려보도록 하겠음 PPA는 전기 구매자와 생산자가 구매계약을 하는 것을 뜻하고 한전이 끼면 제3자PPA, 직접 구매계약을 체결하면 직접 PPA라고 보면 됨 기업에 재생에너지로 전력소비 100%를 충당하겠다는(?) RE100 선언을 하면서 PPA는 이행수단중 하나라고 보면 됨. 다른 방안으로는 녹색프리미엄과 REC인증서 구매가 있음. 두 가지 이행수단에 비해 절차가 복자하다는 단점이 있음 아래 링크 참고 👇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 하이브리드에 넣는 유종은 무엇일까? (디젤/가솔린) 연료 사용량을 구분해서 기입해야하는 상황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은 어느 유종으로 분리해야하는지 한번쯤은 궁금 할 수 도 있는 주제 과연 디젤일까 가솔린일까? 정답은?! 둘 다! 디젤 하이브리드는 오염저감장치로 인해서 동일한 트림에 비해서 더욱 비싸다고 해서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었던 것 가솔린 하이브리드가 보편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출처: https://ikkujun.com/708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기초- 배출량 산정식 파헤지기 온실가스 실무에서 사용하는 기본중의 기본! 배출량 산정식을 맞닿드릴때 필요한 지식들에 대해 나누어보도록 한다. 우선은 내가 아는대로 필요한 내용을 다 적어보고, 난이도와 구성에 따라 묶어보도록 하겠다. 일단은 1탄으로 "발열량"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배출량 산정 방법은 통상 아래와 같다. 온실가스 배출량(tCO2eq) = ∑[연료 사용량(㎏) × 순발열량(MJ/㎏) × 배출계수(kgGHG(CO2/CH4/ N2O)/TJ) × 10-9 × 지구온난화지수] 에너지 사용량(TJ) = 연료 사용량(㎏) × 총발열량(MJ/㎏) × 10-6 여기서 순발열량이란? 그렇다면 발열량은 무슨 뜻인지? 설명해본다. 발열량의 정의는 질량 1Kg의 고체연료, 1L의 액체연료 또는 부피 1M^3의 기체연료가 완전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