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포스코ESG

(2)
ESG 업종별 대응방안- ① 건설업 🏗️ 건설업 ESG 이슈 정리 중기청의 엣지티비를 보면서 정리하고 있음 차라리 기사나 글로 적혀있으면 정리해가면서 읽을 수 있겠는데 동영상이라서 오히려 포인트를 잡고 이해하는데 시간이 더 걸리는 듯함 어쨋든 정리한 내용으로는 건설업에서 이슈는 1) 국내 규제대응 2) 벨류체인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마련 3) 글로벌 인증제도 대응 1. '24년부터 민간 건축물을 대상으로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2. 건설의 밸류체인별로 온실가스 감축 방안 마련 (자금조달, 기획, 설계, 자재 생산, 조달, 시공, 운영) 3.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더불어, 상업용 부동산 대상 ESG 성과 및 평가평가제도 정리한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다👇👇👇👇 INTRO 2020년부터 연면적 1,000m2 이상 공공건축물 대상 의무화 202..
철강산업 CCUS(이산화탄소포집기술) 국내 상용화 현황 오늘의 짧은 녹색기술현황 톺아보기! 무려, 포스코 경영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 발간부서로 보아하니 경영연구원에서도 철강연구실이라고 하는데, 이슈브리프에서 어떤 내용인지 궁금해서 열어보았다. 23년 5월 24일 버전이므로, 포스코에서 발간한 최근 리포트 결론은 3~4년전과 같은 이야기였다.. 2023년 현재에도 CCUS 상용화는 어려운 걸로.. 우선 포집하는 기술능력보다는 저장 공간이 없고 상용화를 위해서는 효율 개선이 첫번째 인 듯하다. 돈과 정책적 지원이 막대하게 필요하다. 참고로 포스코는 우리나라 1위 다배출 기업이다. (국가배출량 기준 약 10%차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로의 BF-BOF 방식은 1톤당 약 1.9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음 철강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어떻게든 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