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용어간단설명] 전력거래시장 짱 쉬운 용어 설명 | REC, RPS, SMP가 뭔데? 🌩 RPS, REC, SMP SMP가 낮아서~~ 블라블라 1REC가 얼마래 블라블라 RPS시장의 의무공급률은 어떻게 된대? 헷갈리기 쉬운 개념 정리 알면 짱 쉽지만 모르면 벙찌는 개념 RPS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RPS제도란 공급의무자로 하여금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할 의무를 부가하는 제도 공급의무자 기준 : 500MW 이상 대규모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단,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제외)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REC는 공급의무자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 공급한 사실을 증명"하는 인증서 REC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성되며, 1.. [용어간단 설명] 제3자 PPA, 직접 PPA | 이보다 쉽게 설명 할 수 없다🚄 회사 업무에 다른 공부하는 거에 바빠서 조금 늦게 글을 올리게 되었음!! 신재생에너지는 온실가스 감축 및 대응의 핵심 이행수단으로, 전력사업시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장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므로 앞으로 글을 정리하여 종종 올려보도록 하겠음 PPA는 전기 구매자와 생산자가 구매계약을 하는 것을 뜻하고 한전이 끼면 제3자PPA, 직접 구매계약을 체결하면 직접 PPA라고 보면 됨 기업에 재생에너지로 전력소비 100%를 충당하겠다는(?) RE100 선언을 하면서 PPA는 이행수단중 하나라고 보면 됨. 다른 방안으로는 녹색프리미엄과 REC인증서 구매가 있음. 두 가지 이행수단에 비해 절차가 복자하다는 단점이 있음 아래 링크 참고 👇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