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62) 썸네일형 리스트형 카카오 ESG | 자발적 지표 수립 및 설정 카카오에서 탄소지표를 만들었다. 카카오의 대다수 에너지사용량은 전기사용량으로 보인다. 가지고 있는 사업들의 역량으로 친환경활동을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 고민이 많았을 것 같다. 사업활동시 막대한 전기사용량을 잡아먹는데 데이터! 카카오는 데이터 센터 때문에, 사업장 단위 25,000톤이 넘어서 배출권거래제 대상으로 분류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신기했던 건 데이터 센터가 여러개 여서 그런지 사업장 단위에 25,000톤을 넘지 않고, 규모로 볼 때 제도의 관리를 받고 있을 것 같은데 목표관리제 대상도 아니고,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업체도 아니었다. 대상업체가 아니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ESG 활동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카카오 카본 인덱스(Kakao Carbon index) 카카오.. 배달의민족 |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사용 억제 사업 방법론 개발 PR 담당자가 보도자료를 뿌렸나싶을 정도로 약간 한결같은 기사 사업 방법론 개발했다는 내용! 얼마전에 환경 담당자 채용했다고 들었는데~ 환경의 날 앞두고 그 결과물을 홍보하는 건가 싶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흥미로워서 이렇게 스크랩해보려고 한다. 친환경 활동에 따른 실적을 객관적으로 산정하는 기준을 만든 것이다. 이걸 가이드라인으로 만들어서, 구체적인 수체와 산출기준 및 공식을 마련했다고 한다. 이렇게 만든 방법론으로 앱 기능에 있는 일회용 수저 포크 안 받기 기능을 플라스틱 사용 감소 및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반영하여 정량화 하였다. (해당 사업으로 2022년 2만 6천톤 온실가스 감축) 향후 추진하고있는 친환경 활동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량 표준화를 추가 발굴할 예정 쿠폰 제공을 통한 리워드 .. 네이버 ESG 추진 전략 네이버 6/5일 환경의 날을 맞아서 네이버가 캠페인 광고를 쎄게 하고 있는데 관련 웹페이지를 개설해서 홍보를 하고 있길래 소개해볼까 함~ 네이버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은 22년발표한 21년 배출량이 최신 곧 23년에 22년 배출량을 담은 보고서가 발간되겠지? 네이버는 사업장기준 25,000톤이 넘으면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으로 분류되는데 2020년부터 할당대상업체로 선정됨 배출권 참여기업인지 아닌지 확인하려면 ngms 시스템(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들어가서 검색 가능 https://master.gir.go.kr/link.do?menuNo=30130101&link=/websquare/websquare.html%3Fw2xPath%3D/cm/bbs/OGCMBBS021V.xml%26menu%3D3013010..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기준 및 유의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기준 및 유의점 https://www.youtube.com/watch?v=XyanHGChH68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현대오일뱅크 통합보고서 2021 국내 4대 정유사 중 하나인 현대오일뱅크의 연간 배출량 정보 ngms에서 일일히 찾아보기 귀찮아서, 보고서의 기재된 부분만 보았음 온실가스 배출량 (tCO2eq) 2019 8,194,419 2020 8,142,732 2021 9,159,488 다배출 에너지원 분류 고정연소>공정배출>탈루배출> 및 기타(보고서에 기타라고 표현)> 이동연소 배출량 집약도 2019 388.05 2020 594.79 2021 444.48 개인적인 코멘트 개인적인 궁금증? 보고서에 직접에너지 사용의 연료는 무엇인지? 나와있지 않음! 지속가능경영보고서라고 칭하지 않고, 굳이 통합보고서로 이름을 붙힌 이유는 무엇일까? 에너지로 만드는 깨끗한 미래라는 슬로건만 보임 인터넷 뉴스도 그렇고, 보고서도 그렇고 ESG 경영 선두주자는 아닌 느.. 환경산업기술원 ESG 전략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2021년에 2019~2020년 2년간의 성과를 보고서로 올렸음 2023년에 2021~2022년 보고서가 올라올 것으로 예상됨 기술원에서 시행하는 사업자체가 녹색경영이라, 기관소개 및 사업성과 보고서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음 ESG 미래상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기업은 녹색경영을 하고 국민은 친환경 생활을 실천하는 사회 환경재난으로부터 안전하고, 지역과 기업이 공존하는 사회 청렴하고 투명한 경영으로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기관 전략목표(~'25년) 녹색경제 선도 온실가스 감축 안전한 환경조성 동반성장 상생협력 청렴성제고 투명한 경영공시 글로벌 수준 녹색분류 체계 1,500만톤tCO2-eq감축 안전환경 국민체감성 제고 동반성장 평가 '최우수' 부패방지평가 1.. 서울시, 2022년 탄소정보공개(CDP) 평가결과 서울시 평가 내용을 보니, 우리 기관이 담당하고 있는 지자체도 충분히 CDP A등급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기업에서만 인증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도시에서도 가능하네! CDP 도시인증 1002개 도시 중 122개 도시만 A등급 획득, 기후위기 대응 리더십과 투명성 인정 올해 CDP는 총 1002개 도시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중 122개 도시만이 A등급. 서울을 비롯한 파리, 샌프란시스코, 리우데자네이루, 케이프타운, 멜버른, 런던 등이 올해 A등급으로 우수한 평가 국내에서는 서울시와 함께 대구시 및 서울시 도봉구가 A등급 CDP 평가에서 A등급을 받으려면? 1. 온실가스 배출 감소 실적을 공개 2. 재생에너지 목표를 설정 3. 기후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 4..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개념 석사과정에서 한 학기 CDP인증 관련해서 공부를 한적이 있지만, 국내 기업현황이 지속가능경영 평가지표를 여러 기관을 대상으로 인증받고 있기 때문에 트레킹의 용도로 팔로업 해볼 예정이다. 다음 글에서는 CDP WATER 작성 안내서 한글버전이 나와서 공유할 겸 공부해보려고 한다. https://sustainableroutine.com/27 CDP water 작성안내서 CDP 물경영 작성 안내서 한국어 버전이 있어서 공유! 출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sustainableroutine.com 이에 앞서 ChatGPT에게 물어본 CDP란? CDP(Carbon Disclosure Project)는 기업이 기후변화, 물 부족 등 환경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비영리 기관입니다. CDP는 기업이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