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8) 썸네일형 리스트형 CCUS 산업 기술혁신 추진(안) 2023.04.10 1. 추진배경 2. 국내외 현황 3. 비전 및 기본방향 4. 주요 추진계획 5. 정부지원건의 23년 4월 10일 출연연과 민간 합동으로 CCUS 산업에 대한 기술혁신 추진안이 나왔다. CCUS 개념부터 국내 계획이 막연하기만 했는데, 그래도 자굼꺼자 논의 한 내용을 구성해서 발표하였다. 5.정부지원건의안만 발췌하여 핵심만 이야기해보면 아래와 같다. 뭐 아래 4가지를 구성해달라는 이야기다. 4가지를 보면 법과 제도 인프라부터 투자가 부족하다는 이야기인데 결론적으로 현재 국내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이야기... 매번 외국이 이러니 따라가야만한다는 이야기만 하니 2023년 아직 이정도면.... 패스트 팔로워도 역할은 물론이거니와 2050년에도 달성 못할 것 같다. 무튼! 링크를 들어가서보면 CCUS 개념부터 국내.. EU 그린딜 산업계획('23년 2월 버전) 유럽의 그린딜은 앞으로 글로벌 녹색산업의 정책 이정표로 국내의 벤치마킹 1순위 추진 상황을 최신화하고 트레킹하는 작업이 중요해서 스크랩 해두었음 EU 집행위는 ’23년 2월 그린딜 산업계획(Green Deal Industrial Plan)을 발표하여 그린 전환 및 산업경쟁력 강화 의지를 표명 핵심키워드는 아래와 같음 청정기술 산업 육성을 위해 ➊규제환경 간소화, ➋자금조달 촉진, ➌기술 역량 강화 ➍해외 협력 확대 등의 수단을 활용 계획 구분 내용 1.규제 간소화 (A predictable and simplified regulatory environment) -탄소중립산업법 및 핵심원자재법 등 제정 -전력시장 개편 및 규제 샌드박스 도입등 2. 자금조달 촉진 (Fast access to funding) .. 제3자 전력거래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PPA)이란? 제3자간 전력거래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 어렵게 설명이 되어있는데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사업자가 재생에너지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일반 기업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것! 한전이 중간다리(중개) 역할이 되어서 제3자 거래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 한전이 발전사업자와 구매계약을, 전기사용자와 판매계약을 각각 체결! 일반기업에서는 RE100이행을 위해서 재생에너지 사용인정이 필요하니, 이에 따른 구입실적을 에너지공단에 제출해서 확인서 발급을 하면 인정받을 수 있음~ 다음시간에는 국내 RE100 도입현황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슈 관련법령 전기사업법 제31조 제 1항 발전사업자 및 전기판매사업자는 제43조에 따른 전력시장운영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력.. 2022년 배출권시장 거래 동향 KRX에서는 매년 1~12월까지 시장 현황을 정리한 리포트를 매년 발간하고 있다. 아래 링크에 가면 내년 리포트를 열람할 수 있다. https://ets.krx.co.kr/board/ETS03020000/bbs 배출권시장 정보플랫폼 | 시세정보 | KRX운영리포트 시세정보 KRX운영리포트 ets.krx.co.kr 2022년자료는 22년 12월 30일날 발간되었다. '22년 할당배출권 평균 가격이 22,984원이라는데 현재 3월 29일 종가는 13,850원.... 계속 떨어지고 있다. 작년말에 코로나 이후로 계속 오르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13,850원은 되게..흠..싸다. 계속 지켜봐야 할 듯 싶다. '22년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 간단 요약 거래동향 '22년 배출권시장 총 거래량은 2,594만 톤으..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 (광역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자료를 활용하여 지자체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를 산정 비산업부문을 중심으로, 지자체 단위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을 위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시 적용된 주요 가정, 방법론, 감축률과 지자체 감축목표 설정 방법론 비교 및 분석 ※ 이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서는 국가단위 목표와 지자체 단위 목표간 연계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 국가단위의 최종에너지 수요 전망 후, 국가 대비 지자체 실적 증감률 관계를 이용하여 지자체 최종에너지 수요를 전망하는 방법을 적용 세부 에너지 활동자료 데이터 확보가 어렵거나 비에너지 배출원인 산업공정, 농축산, 폐기물부문은 국가단위 온실가스 배출량과 지자체 인벤토리 실적을 이용하여,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직..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 (기초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기초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방법 예시 -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방법은 4단계로 구분 가능 (1단계) 연도 및 범위 설정: 기준연도 및 목표연도 설정, 대상 카테고리 설정 (2단계) 사전 예측: 카테고리별 전망방법을 적용하여 나열하는 단계 => 기본자료로 영향인자(인구 등),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사용량, 기타 전망 기초자료 등을 사용하고 인벤토리 기간 중 최근 3년 배출량을 제외한 일부만 사용하여 카테고리별로 전망방법 각각 적용 (3단계) 전망 방법 결정: 카테고리 별 전망방법 중 인벤토리 기간의 최근 3년 배출량과 최소 오차를 나타내는 최적의 전망방법 선택 (4단계) 최종 예측: BAU 최종 전망 출처: 지자체 온실가스 관리 가이드라인, 한국환경공단(2018)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 (미래배출량 개념, 배출량 전망 실무) 온실가스 배출전망방법은 국가 측면이나, 광역/기초 지자체 단위로 내려오는 배출전망 방법 동일 따라서, 환경부에서 발간한 지자체 기후변화대응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에 나온 내용을 기초로 소개하고자 함. 특히 상향식 모형과 관련해서는 GIR(온실가스종합센터) 내부에는 이미 기 구축된 모형을 바탕으로 전망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전망모형은 수정보완이 가능하며 인풋데이터 매해 업데이트 가능! part1 개념설명 1. 미래배출량 개념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배출현황을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온실가스를 예측하는 것을 의미 즉 미래 배출량은 예측된 배출량으로 정의함 미래 온실가스 배출량에 아무런 조치가 없을 때 배출량 전망치를 BAU(Business As Usual)라고 정의하며 온실가스 감축.. 현대오일뱅크 통합보고서 2021 국내 4대 정유사 중 하나인 현대오일뱅크의 연간 배출량 정보 ngms에서 일일히 찾아보기 귀찮아서, 보고서의 기재된 부분만 보았음 온실가스 배출량 (tCO2eq) 2019 8,194,419 2020 8,142,732 2021 9,159,488 다배출 에너지원 분류 고정연소>공정배출>탈루배출> 및 기타(보고서에 기타라고 표현)> 이동연소 배출량 집약도 2019 388.05 2020 594.79 2021 444.48 개인적인 코멘트 개인적인 궁금증? 보고서에 직접에너지 사용의 연료는 무엇인지? 나와있지 않음! 지속가능경영보고서라고 칭하지 않고, 굳이 통합보고서로 이름을 붙힌 이유는 무엇일까? 에너지로 만드는 깨끗한 미래라는 슬로건만 보임 인터넷 뉴스도 그렇고, 보고서도 그렇고 ESG 경영 선두주자는 아닌 느..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