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8) 썸네일형 리스트형 히트펌프 원리 가장쉽게 히트펌프 원리를 설명한 글 같아서 공유~ 히트펌프는 전기에너지를 통해서 열을 데우는 원리 전기를 열로 바꾸는 게 아니라, 열을 모아 이동시키는 데 전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차이가 기본적으로 같은 양의 전기로 히트펌프가 현저히 많은 열을 낼 수 있도록 만듬 전기에너지는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생산할 수 도 있지만,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통해 히트펌프를 이용할 수 도 있으며, 사용한 전기에너지보다 훨씬 많은 열에너지를 내뿜기 때문에, 효율측면에서 기후변화 완화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함 히트펌프는 에어컨처럼 실내의 열을 모아 바깥으로 내보내는 냉방 기능도 있으며 실제로 많은 히트펌프가 필요에 따라 난방 또는 냉방으로 방향을 바꿔 작동하기도 함. 과거에 비해 히트펌프 효율이 좋아지고 있음 https:.. RE100, 회원사 재생에너지 전환 성과 분석 | 코트라 CDP 에서는 2023년 1월 '22년 연차보고서 공개하였음 코트라에서는 RE100, 회원사 재생에너지 전환 성과 분석을 발간하였으며 이를 스크랩하였음 볼드 처리된 중요 키워드만 보면 RE100에 대해서 그리고 현황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음 RE100 개요 및 현황 (개요) RE100은 ’14년 영국에 소재한 다국적 비영리기관‘TheClimate Group’과 ‘CDP’가 공동으로 창설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 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와 저탄소 경제로 전환을목표로, ’50년까지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력을 전량 재생에너지*로 대체추진 □ (회원) ’23년 현재 기준 구글, 나이키, 애플, 이케아, 도이체은행 등 전 세계175개국에서 영업 중인 글로벌 409개 기업이 회원으로 참여 중 ◦ RE10.. 국제 금융 및 석유 회사 ESG 추진 동향 및 시사점 다배출 업종의 탄소규제 대응과 ESG 추진 동향 파악을 위해 스크랩 하였음 2022년 글(2022/4/7)이라 1년이 지났기에 내용의 흐름과, 금융회사/석유회사의 행보를 스키밍 하면 좋을 것 같음 2023년 현재는 지금은 업데이트 된 수준이지만 전체적인 행보는 비슷할 것으로 보임 서론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나타내는 척도 ESG 탄소배출량 감축에 선제적 대처하여 낮은 배출량을 가진 연료 및 제품을 공급하는 것은 경쟁 우위가 될 수 있음 -화석연료에 대한 인식과 사고 -금융기관의 투자 축소 유발 -코로나19 시기에 따라 ESG 추진 동향과 시사점 발굴 가. 금융회사들의 ESG 추진 동향 세계 금융 회사들은 자금 지원, 회수 및 수익률 확보를 위해 기업들로 하여금 ESG를 적극 추진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심.. 뉴욕시 기후변화대책 | 음쓰 분리수거 뉴욕 온실가스 배출 3위는 음식물 쓰레기이며, 뉴욕시의 전체 배출량의 약 20%를 차지한다고 한다. 뉴욕시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를 의무화하였다. 아직 가결하였지만 곧 공식 발효될 예정이라고 한다. 예전에 신기했던 건, 미국에서는 음식물이랑 일반 쓰레기를 함께 버리는 것이었다. 아무튼, 뉴욕에서는 지금까지는 재활용품만 별도 분리해왔다. 드디어! 얘네 음식물을 따로 버리게하는구나,, 싶었다 왜 같이 버릴까 싶었는데, 안 그래도 같이버리니까 온실가스 배출량이 제어가 안되는 듯하다. 기사에 의하면 뉴욕시는 2026년부터는 신축 건물에서 가스레인지와 가스히터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도 통과시켰다. 전부 전기 인덕션으로 교체하려고 하는 추세이다. 2024년부터는 병원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 신축 건물.. 카카오 ESG | 자발적 지표 수립 및 설정 카카오에서 탄소지표를 만들었다. 카카오의 대다수 에너지사용량은 전기사용량으로 보인다. 가지고 있는 사업들의 역량으로 친환경활동을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 고민이 많았을 것 같다. 사업활동시 막대한 전기사용량을 잡아먹는데 데이터! 카카오는 데이터 센터 때문에, 사업장 단위 25,000톤이 넘어서 배출권거래제 대상으로 분류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신기했던 건 데이터 센터가 여러개 여서 그런지 사업장 단위에 25,000톤을 넘지 않고, 규모로 볼 때 제도의 관리를 받고 있을 것 같은데 목표관리제 대상도 아니고,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업체도 아니었다. 대상업체가 아니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ESG 활동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카카오 카본 인덱스(Kakao Carbon index) 카카오.. 배달의민족 |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사용 억제 사업 방법론 개발 PR 담당자가 보도자료를 뿌렸나싶을 정도로 약간 한결같은 기사 사업 방법론 개발했다는 내용! 얼마전에 환경 담당자 채용했다고 들었는데~ 환경의 날 앞두고 그 결과물을 홍보하는 건가 싶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흥미로워서 이렇게 스크랩해보려고 한다. 친환경 활동에 따른 실적을 객관적으로 산정하는 기준을 만든 것이다. 이걸 가이드라인으로 만들어서, 구체적인 수체와 산출기준 및 공식을 마련했다고 한다. 이렇게 만든 방법론으로 앱 기능에 있는 일회용 수저 포크 안 받기 기능을 플라스틱 사용 감소 및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반영하여 정량화 하였다. (해당 사업으로 2022년 2만 6천톤 온실가스 감축) 향후 추진하고있는 친환경 활동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량 표준화를 추가 발굴할 예정 쿠폰 제공을 통한 리워드 .. 네이버 ESG 추진 전략 네이버 6/5일 환경의 날을 맞아서 네이버가 캠페인 광고를 쎄게 하고 있는데 관련 웹페이지를 개설해서 홍보를 하고 있길래 소개해볼까 함~ 네이버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은 22년발표한 21년 배출량이 최신 곧 23년에 22년 배출량을 담은 보고서가 발간되겠지? 네이버는 사업장기준 25,000톤이 넘으면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으로 분류되는데 2020년부터 할당대상업체로 선정됨 배출권 참여기업인지 아닌지 확인하려면 ngms 시스템(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들어가서 검색 가능 https://master.gir.go.kr/link.do?menuNo=30130101&link=/websquare/websquare.html%3Fw2xPath%3D/cm/bbs/OGCMBBS021V.xml%26menu%3D3013010.. OCED 탄소가격보고서 Effective Carbon Rates 2021 Pricing Carbon Emissions through Taxes and Emissions Trading (한글로 요약하여 소개) 탄소가격을 리서치 할 때 oced나 world bank자료를 참고할 때가 종종 있음 우리나라 배출권할당계획에 따른 배출권시장 운영결과 보고서 같은 걸 환경부에서 발간하기도 하는데,OECD판 탄소정책을 펼치고 있는 회원국을 대상으로 발간한다고 보면 됨단지, OECD는 정부 기구가 아님으로, 회원국들의 정보를 모아서정말로 탄소세,배출권가격 정책시행등이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함원문의 한글내용은 아래와 같이 소개하고자 함단 하나! 아쉬운건 이 글을 쓰면서 원문도 함께 보고 있는데 21년에 발간한 EU 원문자료를 소개하는 것이다보니, 내년에 소개해도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24년에 나옴.그래도 앞으로 이런 자료 트레킹할 때 흐름이 어떻구나를 볼 수 있는 측면에서는 유용한 듯함 OECD에서는 20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