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8) 썸네일형 리스트형 SBTi 이해하기 - Part2 (추진 절차) 업무로 일이 많아서, 추진절차만 나열하지 못해서 아쉽지만 차근차근 알아보는 걸로 하고 끊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음 개념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서 설명하였고, 오늘은 간략히 추진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https://14035000.tistory.com/73 SBTi 개념 이해하기 -PART 1 SBTi 뜻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적 접근 방법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지침 및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기후행동 강화에 기여 1. 배경 및 sustainableroutine.com 추진절차 과학기반 목표설정 서약 제출, 목표제출, 목표제출 및 검증, 목표공개 및 진행사항 추적 등의 절차로 진행됨 STEP 1 목표.. SBTi 개념 이해하기 -PART 1 SBTi 뜻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적 접근 방법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지침 및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기후행동 강화에 기여 1. 배경 및 필요성 2. 개요 3. 참여현황 4. 추진절차 1번~ 3번을 알아보고 4번은 PART 2에서 다루어보도록 하자! 1. 배경 및 필요성 1) 탄소중립 선언 확대 탄소중립 이행 방안에 대한 이행 지침 및 방법론 필요 2) 이상 기후 현상 증가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를 1.5도씨 아래 수준으로 제한할 필요 있음 3) 환경정보공개 요구확대 국제사회의 환경정보 공개요청에 대한 전략적 대응 필요 2. 개요 (정의)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자 과학기반 .. 2023년 공공부문 외부감축사업 등록방법 실제 공공부문 외부감축사업 등록 인증을 진행 중이라 작성해보았음! 이번년도는 10월 15일까지 연장되었음! 외부감축사업이란?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대상시설이 아닌 민간시설(제외시설 포함)에 신재생 에너지, 그린카 보급 등의 감축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말함 법적인 근거는? 2015년 부터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운영등 에 관한 지침 제 24~29조에 따라 비규제부문 외부감축사업 감축량을 반영하여 감축실적을 인정 받을 수 있음 종류는 뭐야? 지침에서 인정하는 해당 범위내에서만 인정이 가능함 총 17가지이고 아래 링크에 올려둘게! 얼마만큼 쓸 수 있는데? 기준배출량의 20%이내 사용가능 만약 기준배출량이 10,000톤이라면 2,000톤을 외부감축량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뜻임 사업 시작일로부터 5년.. 원자력와 재생에너지 무엇이 더욱 저렴할까? 재미있는 기사가 있어서 발췌했음! 정부가 다시 원전 건설을 제개하고, 설계수명 만료된 원전의 계속운전을 추진하면서 원전 신증설에 적극 나서고 있다. '경제성' 측면에서 비교했을 때, 무엇이 더욱 효율적일지 생각한다면 원전이 싸기 때문에 정부에서 적극 나서고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그런데 기사에서는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따라 경제성이 있는 에너지원이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고 짚었다. 학자마다 사람마다 다르게 이야기하겠지만, 일반 사람들에게 설명할 때 아래와 같이 말하는게 제일 심플하지 않을까 싶다. 원전이 필요하다는 측에서는 발전단가의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보다 원전의 발전단가가 저렴하다고 주장한다. 올해 6월 기준 원료별 정산단가는 Kwh당 원자력 38원, 유연탄(화력발전소) 142원.. 한국가스공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2 환경부분만 발췌해서 보자면, 한국가스공사의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687,660톤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남 환경파트 보고서 진행에 앞서서 swot 분석했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추진 조직을 설립한 내용을 언급하였음 한국가스 공사는 크게 1. 탄소중립 이행 2. 순환경제 활성화 3. 생태계 보전 활동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음 자세한 내용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원문을 통해서 확인 가능하다. 용량이 커서 원문 업로드를 못했으나 아래 링크를 통해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https://kind.krx.co.kr/external/2022/09/15/000158/20220915000493/2022%20%ED%95%9C%EA%B5%AD%EA%B0%80%EC%8A%A4%EA%B3%B5%EC%82%AC%20%EC%A7.. 2023년 7기 사무직 종사자의 안전관리(1) 시험문제/ 답안 CTRL + F 해서 해당하는 내용 찾아서 답을 넣으세요~ 여기에 없는 문제 유형은 다른 글에서 답으로 나올 수 있으니 한 곳에만 모든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님! 1. 효과적인 직무스트레스 예방과 관리를 위한 조직적 개인적 차원의 관리 내용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직무스트레스로 예방을 위한 긴장이완기법, 호흡법, 심상훈련 등은 증상완화를 위한 자기 관리법에 해당한다. 2관리감독자는 평소 업무의 질, 양, 출근 등의 상태를 파악하고 개인에게 과중한 업무 부하가 집중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3근무시간 관리, 휴식시간 제공, 의사소통 창구 마련 등은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관리하기 위한 개인적 차원의 전략이다. 4평상시와 다른 근로자를 빨리 알아채고 조기 대응을 한다. 정답 3번 해설 근무시간 관리, 휴식시간 제공.. 국내 산림부문 온실가스 감축 제도(외부사업 vs 산림탄소상쇄제도) 직원교육으로 , 국내 산림부문 온실가스 감축 제도적 동향에 대해서 들었다! 아무래도 산림부문 관련해서는 우리 기관이 오래 해오다보니, 교육을 듣고 이건 꼭 적어서 정리해야겠다는 마음으로 들고 왔다. 산림부문 외부사업 개요 및 현황 산림탄소상쇄제도 개요 및 현황 산림부문 외부사업 및 산림탄소상쇄제도 이렇게 세가지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산림부문 외부사업 개요 및 현황 일단 외부사업이란? 배출권거래제 할당업체가 정부로부터 받은 손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 필요를 위해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을 뜻한다. 할당업체는 온실가스 감축량에 따라 1. 직접 감축하거나, 2. 초과 배출된 탄소를 직접 배출권 구매를 통해 충당하거나, 3. 사업경계 이외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산림부문 외부 사업 운영기관은? 총괄기관인 .. 자발적 탄소시장 주요 이슈사항 및 핵심내용 오늘 회사내부에서 직원 교육으로 자발적 탄소시장 주제를 들었다. 받은 교육 내용을 토대로 차차 챕터를 나누어 설명을 하고 싶을만큼 관심이 있는 주제였다. 우선 기억이 휘발되기 전에 헷갈리거나, 중요하거나, 그리고 시의점이 있던 부분만 메모로 남기고자 한다. 자발적 탄소시장의 한계 확장속도 및 복잡성 자발적 탄소시장 주요 이슈사항 1) MRV 2) 탄소제거유형의 크레딧 선호 3) 파리협정 6조 상응조정 운영방식의 영향 이렇게 3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헷갈리는 용어 구분하기 소각(Retirement) VS 취소(Cancelation) 목적 이외에 사용유무에 따라 구분 현재 국내 자발적 탄소시장 거래 플랫폼은 중개거래의 형태로 아오라와 팝플에서 진행하고 있음 대표적인 자발적 탄소시장 크레딧은 VCS GS A..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